[3분증시] 뉴욕증시, 민간 고용 둔화에 반색…4일 연속 상승<br /><br />[앵커]<br /><br />세계 증시와 우리 증시를 짚어보는 시간 '3분 증시'입니다.<br /><br />연합인포맥스 권용욱 기자 나와있습니다.<br /><br />먼저 간밤 미국 증시부터 정리해주시죠.<br /><br />[기자]<br /><br />네. 간밤 뉴욕 증시는 민간 고용이 예상치를 밑돌았다는 소식에 연방준비제도의 긴축 우려가 완화돼며 상승했습니다.<br /><br />마감가를 살펴보면, 다우지수는 전장보다 0.11%, S&P500 지수는 전장 대비 0.38% 각각 올랐구요.<br /><br />나스닥지수는 0.54% 뛰었습니다.<br /><br />하루 전날에 이어 간밤에도 경제에 나쁜 소식이 증시에는 좋은 소식으로 작용했는데요.<br /><br />ADP라는 민간 기관에서 발표한 미국의 민간 부문 고용 지표가 예상보다 부진했습니다.<br /><br />9월 민간 고용의 신규 고용은 17만7천명 증가해 예상치 20만명 증가를 밑돌았는데요.<br /><br />이번 수치는 지난 7월의 절반에도 미치지 못하는 결과였습니다.<br /><br />어제 전해 드렸던 기업의 채용 공고 건수 감소와 함께 노동시장의 과열이 식어간다는 신호가 연이어 나온 셈인데요.<br /><br />이번주 후반에 가장 중요한 지표 중의 하나인 비농업 고용 보고서가 발표되는데요.<br /><br />간밤에 나온 민간 고용이 비농업 고용 보고서와 반드시 강한 연관성을 가지는 것은 아니지만, 그럼에도 이번 지표는 과열된 노동시장이 냉각된다는 분명한 신호를 보여줬습니다.<br /><br />[앵커]<br /><br />네, 또 미국의 성장률 발표도 있었다구요.<br /><br />[기자]<br /><br />네, 또 다른 경제 지표로 미국의 2분기 성장률이 공개됐는데요.<br /><br />GDP 성장률은 속보치와 잠정치로 나뉘어지는데, 이번에 나온 것은 잠정치로 속보치에서 추가적인 자료를 보완해 수정한 수치입니다.<br /><br />2분기 GDP 잠정치는 2.1% 성장해 속보치인 2.4% 성장보다 낮아졌는데요.<br /><br />당초 시장의 예상치 2.4%도 밑도는 결과였습니다.<br /><br />민간 고용과 함께 성장 지표도 다소 부진하게 나오면서 연준의 추가 긴축 우려는 완화됐습니다.<br /><br />다만, GDP 성장률이 2%대를 유지했다는 소식은 경기가 침체에 빠지지 않을 것이란 기대도 키워 그 자체로 증시에 긍정적인 역할을 하기도 했습니다.<br /><br />[앵커]<br /><br />네, 경제 지표 발표를 소화하며 미국 증시가 요 며칠 계속해서 좋은 분위기를 이어갔네요.<br /><br />[기자]<br /><br />네, 그렇습니다.<br /><br />핵심은 연준이 추가로 금리를 올릴 것이란 우려가 조금씩 옅어지고 있다는 건데요.<br /><br />시장은 당초 11월에는 금리 인상이 있을 것으로 예상했지만, 인상 확률이 최근 며칠 사이 빠르게 내려가고 있습니다.<br /><br />이런 인식 속에 간밤 미국 국채 금리는 다시 떨어졌구요.<br /><br />금리 하락은 기술주 랠리로 이어졌습니다.<br /><br />실적 발표 이후 오름세를 재개한 엔비디아 주가가 1% 가까이 추가로 올랐구요.<br /><br />엔비디아 주가는 종가 기준으로 사상 최고치를 기록했습니다.<br /><br />또, 애플도 다음달 예정된 신형 아이폰 공개 행사를 앞두고 2% 정도 뛰었습니다.<br /><br />또 눈에 띄는 개별 종목으로는 컴퓨터 제조업체 휴렛패커드가 부진한 실적을 발표하면서 주가가 6% 넘게 떨어졌구요.<br /><br />전기차 업체 리비안의 주가는 2% 가량 올랐습니다.<br /><br />[앵커]<br /><br />마지막으로 오늘 코스피 전망까지 짚어주시죠.<br /><br />[기자]<br /><br />네. 어제 코스피는 미국 물가 지표 등에 대한 관망 속에 소폭 올랐는데요.<br /><br />지수는 2,561부근에서 거래됐습니다.<br /><br />오늘 코스피는 미국의 추가 긴축 우려가 줄어든 데 따라 강보합권에서 출발할 것으로 전망됩니다.<br /><br />미국 국채 금리 하락에 따른 기술주 강세는 국내 증시에도 긍정적인 영향을 미칠 것으로 보이는데요.<br /><br />다만, 미국 물가와 고용이라는 중요한 경제 지표 발표도 앞두고 있어 관망세도 이어질 것으로 예상됩니다.<br /><br />#뉴욕증시 #민간고용 #애플 #휴렛패커드 #코스피 #3분증시<br /><br />연합뉴스TV 기사문의 및 제보 : 카톡/라인 jebo23<br /><br />(끝)<br /><br />